2. 아파치와 톰캣 연동을 위한 Tomcat7 설치하기
톰캣 설치를 위해서는 JDK 설치가 필요하며, 이를 선행했다 가정하에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.
jdk 설치하는 방법은 https://kcoc.tistory.com/6 을 참고하면 됩니다.
1. Tomcat 7을 설치하기 위해 아파치 톰캣 사이트로 이동해 파일을 받습니다.
https://tomcat.apache.org/download-70.cgi
역시 마찬가지로 tar.gz파일을 받습니다.
2.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 풀기
# cd /home/cent/다운로드
# tar -xvf apache-tomcat-7.0.92.tar.gz
3. 압축 해제한 파일을 이동시킵니다.
# mkdir /usr/local/server
# mv apache-tomcat-7.0.92 /usr/local/server
# cd /usr/local/server
# ln -s apache-tomcat-7.0.92 tomcat
4. vi 에디터로 /etc/profile 설정해줍니다.
# vim /etc/profile
(굵은 파란 글씨가 JDK 설치 후 추가한 내용에서 더 추가된 부분)
JAVA_HOME=/usr/local/java
CATALINA_HOME=/usr/local/server/tomcat
CLASSPATH=.:$JAVA_HOME/lib/tools.jar:$CATALINA_HOME/lib-jsp-api.jar:$CATALINA_HOME/lib/servlet-api.jar
PATH=$PATH:$JAVA_HOME/bin:$CATALINA_HOME/bin
export JAVA_HOME CLASSPATH PATH CATALINA_HOME
5. 수정 후 source 명령어로 /etc/profile의 내용을 쉘에 적용시킵니다.
# source /etc/profile
# /usr/local/server/tomcat/bin/startup.sh (톰캣 서버 시작)
서버 구동 후 firefox를 켜서 localhost:8080 입력
index화면이 나오면 성공!
------제대로 되지 않을 때------
포트 방화벽을 해제 시켜줘야 한다.
1. # /etc/init.d/iptables stop (현재 방화벽 가동 중지)
2. # vim /etc/sysconfig/iptables
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8080 -j ACCEPT
위 한 줄 추가해주기
저장 한 후 방화벽을 다시 가동시켜 준다
# /etc/init.d/iptables start 혹은 restart
# /etc/init.d/iptables status
# netstat -ntl
8080포트 부분이 LISTEN상태면 제대로 됐다!
3. 다시 접속해 본다.